전체 글 216

[자료구조] 연결 리스트 (Linked List)

Linked list :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. 데이터를 담고 잇는 노드들이 순서를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음. 🌀 연결 리스트의 종류 - 단일 연결 리스트 - 이중 연결 리스트 - 원형 연결 리스트 🌀 장점 리스트의 중간 지점에서도 자료의 추가와 삭제하는 속도가 빠름 🌀 단점 리스트의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에, 배열에 비해서 시간이 더 소요됨 단일 연결 리스트 : 각 노드에 데이터와 한 개의 포인터가 있고, 각 노드의 포인터는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구조 이중 연결 리스트 : 각 노드에 데이터와 두 개의 포인터가 있는 구조 - 한 개의 포인터는 이전 노드를 가리킴 - 다른 한 개의 포인터는 다음 노드를 가리킴 원형 연결 리스..

CS/자료구조 2020.12.14

[공부기록] 100일_78일차

정말정말정~말 오랜만에 iOS공부🥰 다하자 업데이트 준비❗️❗️❗️❗️ 그동안 다하자 어플에 대한 피드백이 많이 왔다🧐🧐이제 하나씩 업데이트를 할 예정이다 우선 먼저 2021 탭바 추가를 했다. 코어데이터에 2021에 대한 데이터 구조도 추가했다❗️ 앞으로 할일 ✔️탭바 UI ✔️버킷리스트 글자수에 따른 테이블 뷰 높이

[공부기록] 100일_77일차

lin-ing-link.tistory.com/121 [C] 파일 파일 파일은 컴퓨터 등의 기기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담는 논리적인 단위 🌀 일반파일 - 텍스트 파일, 이진 파일 등을 포함 - 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파일의 확장자는 특별한 의미가 없음 - 파 lin-ing-link.tistory.com lin-ing-link.tistory.com/122 [C] open(), close() open() 함수 🌀헤더 파일 및 함수 #include #include #include int open(const char *pathname, int flags, [mode_t mode]); 🌀설명 : 파일을 읽거나 쓰기 위해 열거나, 빈 파일을 새성하고 파일 지시자를 반환함... lin-ing-link.tistor..

[C] open(), close()

open() 함수 🌀헤더 파일 및 함수 #include #include #include int open(const char *pathname, int flags, [mode_t mode]); 🌀설명 : 파일을 읽거나 쓰기 위해 열거나, 빈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 지시자를 반환함. 🌀인자 - pathname : 파일의 이름 또는 경로 - flags : 파일의 열기 모드 - mode : 파일의 접근권한 🌀반환 - 파일지시자 - 오류가 발생하면, -1 🌀인자 flags - fcntl.h 헤더 파일에 정의된 다음 플래그들을 OR 비트연산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O_RDONLY 읽기만을 허용 O_WRONLY 쓰기만을 허용 O_RDWR 읽고 쓰는 것을 허용 O_APPEND 파일의 기존 내용을 이어서 확장 O_CRE..

[C] 파일

파일 파일은 컴퓨터 등의 기기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담는 논리적인 단위 🌀 일반파일 - 텍스트 파일, 이진 파일 등을 포함 - 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파일의 확장자는 특별한 의미가 없음 - 파일의 입출력은 커널 단계에서 버퍼링 작업을 함 (디스크의 여러 부분에 분리/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연결된 것처럼 함) - 파일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구조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아닌, 처리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됨 🌀 디렉토리 - 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디렉토리는 파일의 한 종류임 - 디렉토리는 파일의 목록을 저장하는 파일 - 디렉토리는 파일을 포함하며, 하위 디렉토리 또한 포함할 수 있음 - 디렉토리는 일반 파일과는 다른 개념이지만, 읽을 때는 일반 파일과 동일하게 취급함 - ..

[C] Make

위와 같이 여러개의 소스 파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있을때, 한개의 소스파일을 수정하면 모든 파일을 다시 컴파일하고 링크해야 수정이 반영된 새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. 즉, 파일을 하나만 수정해도 모든 파일을 다시 컴파일 해야한다😭 Make는 수정된 소스 파일만 자동으로 알아내어 컴파일하고, 수정하지 않은 파일은 기존 오브젝트 파일을 그대로 이용하게 해주는 유틸리티 툴이다. Makefile 이란? target, dependency, command의 세 개로 이루어진 기본적인 규칙들이 계속적으로 나열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 주의사항 👉 의존 관계의 각 요소를 구분하는 데에 콤마(,)를 사용하지 않고, 공백( )을 사용함❗️ 👉 명령을 입력하기 전에 반드시 항상 tab 구분자를 입력해야 함 (스페이스는 안됨) 👉..

[공부기록] 100일_75일차

너무 많이 밀렸다❗️❗️❗️ 42끝나면 다시 꾸준히 써야지,,,,,,,,,ㅎㅎ lin-ing-link.tistory.com/117?category=814727 [C]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 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최솟값부터 다시 시작 최솟값보다 작아지면 언더플로우(underflow)가 발생하여 최댓값부터 다시 시작 dojang.io/mod/page/view.php?id=32 C 언어 코딩 도장: 7.2 오버플로우와 lin-ing-link.tistory.com 오늘은 과제를 하면서, 간단하지만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봤다🧐

[C] 오버플로우 언더플로우

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최솟값부터 다시 시작 최솟값보다 작아지면 언더플로우(underflow)가 발생하여 최댓값부터 다시 시작 dojang.io/mod/page/view.php?id=32 C 언어 코딩 도장: 7.2 오버플로우와 언더플로우 알아보기 만약 정수 자료형에서 저장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면 어떻게 될까요? 다음 내용을 소스 코드 편집 창에 입력한 뒤 실행해보세요. integer_overflow.c #include int main() { char num1 = 128; // char에 저장할 수 dojang.io

반응형